기사 (9,751건)

1. 우리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힘 - 불확정성 원리오월은 흔히 계절의 여왕이라 한다. 나날이 푸르러 가는 신록들은 화창한 햇살을 받아 투명하게 빛나고, 아침 이슬을 머금은 잎은 더욱 아름답다. 지천으로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꽃은 또 어떠한가? 그 속을 오가며 지저귀는 새들의 노래, 그 속을 거닐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사하는 사람들, 우리의 세상은 이렇게 아름답다. 이렇게 아름다운 자연이 따지고 보면 우리의 세상이 양자론이 지배하는 세상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시처럼 아름다운 자연을 보고 무슨 엉뚱한 양자이론이냐고 타박할지도 모르지만, 만일 우리의 세상이 뉴턴 역학적 세계였더라면 어떠했을까 하는 것을 상상해 보면 어느 정도 수긍이 갈 수도 있을 것이다.만약, 지금 이 순간에 갑자기 자연 법칙이 양자론적 세계에서 뉴턴 역학적 세계로 변한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우선 당신의 몸 무게는 지금 그대로이면서도, 그 크기는 좁쌀 크기의 백분의 일 정도로 줄어든다. 여러분 주위의 모든 물체들도 같은 비율로 축소되고, 지구를 포함하여 우주의 모든 물체들도 같은 운명을 맞을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물체는 어떤 빛에 대해서도 반응하지 검고 어두운

학술 | 박수용 / 물리 교수 | 2005-05-25 00:00

지난 19일,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가 난치병 환자의 체세포를 복제하여 배아 줄기세포를 얻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이 사이언스가 학술지에 게재하기 전 긴급한 사항을 발표하는 웹사이트인 ‘사이언스 익스프레스(Science Express)’에 소개되면서 온 나라가 열광으로 들끓었다. 지난해 3월 ‘황우석 쾌거’ 때처럼 이번에도 엠바고(보도 자제요청) 파기 사건으로 얼룩지기는 했지만, 작년의 언론 보도에 비판의 목소리도 미약하나마 함께 나왔던 것에 비하면 이번에는 극찬 일색이다. ‘신(神)의 손’, ‘단군 이래 최고 과학자’ 등의 찬사가 쏟아지면서 정부에서는 ‘원하는 대로 지원’해준다며 반색하고 나섰고, 이해찬 국무총리는 기자단 만찬에서 황 교수와의 개인적 친분을 과시했다. 이에 질세라 한나라당에서도 황 교수에게 노벨상을 안겨주겠다며 당내에 ‘과학기술지원특위’를 구성한단다. 이런 가운데 각 언론사들은 경쟁적으로 황 교수의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그 어느 때보다도 대담하게 점치고 있다. 이렇게 대단하다는 황 교수 논문의 실체는 뭘까? 간단히 말하면 체세포 복제를 통해 배아 줄기세포를 얻는 데 있어서 비약적인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다양한 나이, 성별, 질

학술 | 황정은 / 생명 02 | 2005-05-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