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침묵했던‘나’와 ‘과학도’를 돌아보며
이제까지 침묵했던‘나’와 ‘과학도’를 돌아보며
  • 김현우 / 물리 15
  • 승인 2016.12.07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얼마 전, 우리대학 총학생회는 이례적으로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총학생회에서 쓴 시국선언문을 읽으면서 논리 정연하게 잘 쓴 글이라 생각했지만, “과학도라는 변명으로 시국을 외면하기보다”라는 구절이 우리 학우들이 여태껏 ‘과학도’라는 이름 뒤에 숨어 당면한 사회적 문제를 도외시해왔음을 의미하는 것 같아 마음에 걸렸다. 과학도라는 사실이 시국을 외면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없다.
현대 사회에서 과학도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그 이전보다 더욱 커졌다.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은 ‘과학도’가 만든 것이고 미국 대선에서 오바마 대통령 당선에 기여한 빅데이터 역시 과학도가 만든 작품이다. 과거에는 연구실에서 밤새 연구하여 연구 성과를 내는 것이 과학자의 최고 덕목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자신의 연구 성과가 사회에 주는 영향력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행동하는 과학자’가 되어야 한다. 아인슈타인이 핵무기를 반대하며 ‘행동하는 과학자’로 칭송받는 이유도 자신의 연구 결과에 대해 책임을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21세기에 ‘과학도’들은 사회 변화의 최전방에 서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과학도’들은 본인들이 만들어 나가야 할 세상에 책임을 져야 하고 ‘시국’에 관심이 있어야 한다. 나는 시국선언문을 쓰신 분들이 진심으로 ‘과학도라는 변명’이 통한다 생각하진 않았을 것이라 본다. 이러한 문구가 나오게 된 원인은 ‘대학의 승인을 받지 않은’ 학생의 정치 참여를 제한하는 현 제77조(학생활동의 제한) 학칙의 존재에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개교 당시 학칙인 ‘학생의 정치 참여 제한’이 지난 2014년 10월 ‘대학의 승인을 받지 않는 학생의 정치 참여 제한’으로 수정되었다.
해당 학칙 개정 이전이었던 2013년 ‘국정원 선거개입 사태’ 당시 총학생회에서 발표한 ‘포스텍 총학생회 시국선언 관련 설문조사 결과 보고’를 보면 유효 응답자 310명 중 △‘시국선언이 정치적 활동이긴 하나 학칙을 어기더라도 시국선언을 해야 한다’가 57명(18.4%) △‘학칙을 준수하여 시국선언을 하지 말아야 한다’가 67명(21.6%)으로 전체 응답자의 40%가 위 조항이 정치적 활동 의사를 제한하고 있다 답하였고, 21.6%는 실제로 학칙을 위반하는 것이라 정치 참여를 할 수 없다고 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위법 우선의 원칙에 의해 우리대학 학생들의 참정권을 우리대학 학칙이 조금이라도 제한한다면 이는 옳지 않으며 이른 시일 내에 완전히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31대 총학생회의 공약 중 하나인 학칙 특별개정위원회의 활동을 응원할 따름이다.
우리대학 학생들은 앞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능력과 의무를 지고 있다. 그래서 더욱 포항공대 학생들은 어떤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나는 우리대학이 앞으로 대한민국이 어떠한 사회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의 장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