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칭 ‘연구실 안전관리 종합 계획’ 계획 중, 이르면 내년 중순부터 시행
지난 10월 11일, 화공실험동에서 전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화재는 큰 물질적, 재산적 피해를 발생시켰다. 장태현 부총장을 위원장으로 화재피해복구 TFT가 구성되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한편, 앞으로 실험실 안전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안전 정책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됐다.이에 교내 시설 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총무안전팀은 기존 연구실 안전 관련 정책에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해 가칭 ‘연구실 안전관리 종합 계획’이라는 새로운 연구실 안전 정책을 계획하고 있다. 새로운 연구실 안전 정책은 화공실험동 화재 사건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기존 정책의 부족한 점을 진단하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수립되고 있다.
현재는 정책의 초안을 구상하고 있는 단계이나 주요 사안을 분류해보면, 크게 △연구실의 안전설비 강화 △안전관리 담당자의 권한 강화 △연구실 이용자들의 책임 강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건물이나 실험실을 설계할 때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설계하는 등 연구실의 기본 안전설비를 강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권한은 주어지지 않고 책임만 있는 안전관리 담당자의 권한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나 지난 화공실험동 화재사건의 경우, 실험실 특성상 어떤 위험물질이 실험실에 비치돼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소방관들의 화재 진압이 더뎠다. ‘원자력’이라는 단어만 보고 화재 진압을 망설이는 웃지 못 할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점을 고려해 안전관리 인력을 확충하고 권한을 강화해 실험실의 모든 기자재 출입을 중앙에서 관리,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상하고 있다. 또한, 교수, 연구원, 대학원생 등 연구책임자, 종사자 등의 안전관리 책임을 더 강하게 부여할 수 있도록 상벌제도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모사하고 있다.
더불어 지난 화재사건은 새벽 늦은 시간에 발생해 기존 연구실 안전사고 대응대책이 효과를 크게 발휘하지 못했다. 이에 안전사고 대응대책을 업무시간, 업무 외 시간 등 시간대를 세분화하여 더욱 구체화할 계획이다.
총무안전팀 관계자는 “화재사건이 발생하긴 했으나, 우리 대학의 실험실 안전관리 수준은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수준이다. 따라서 타 기관을 벤치마킹할 수 있는 사례가 전혀 없어 자체적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하므로 새로운 안전정책은 이르면 내년 중순쯤 시행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덧붙여 “현행 연구실 안전법에도 부족한 점이 많다. 이 점들에 대해서는 법 개정 요청을 하여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풍조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총무안전팀 관계자는 실험실 안전에 대해 “일부 학과나 실험실 사용자들의 안전의식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 온라인 안전 교육을 이런저런 이유로 이수하지 않는 일도 있으며, 각 과, 연구실마다 배부한 안전관리 매뉴얼도 나중에 보면 사라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제도도 중요하지만, 사용자들의 안전의식도 이에 맞춰 발전하길 기대한다”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저작권자 © 포항공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