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과연에서는 19대 총선에 앞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등 정당에 과학기술계인 58명을 지역구 공천 후보로 추천했지만, 이들을 공천자 명단에서 찾기는 힘들다. 이공계 공천 신청자에게 가산점 20%를 주겠다고 약속했으나 지키지 않은 새누리당을 포함해,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에서 공천 받은 이공계 인사는 10명이 채 되지 않는 수준이다. 그나마 이 10명도 이전 18대 국회에서 의원을 지낸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기존과 달라질 것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공계 인사가 공천을 제대로 받지 못하자 대과연은 현재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에 각각 과학기술계 인사를 10명씩 비례대표로 공천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2012년 3월 21일 현재, 새누리당은 여성과학기술계인 한 명을 비례대표 1번으로 공천해 생색내고 있을 뿐이다. 민주통합당에선 아예 비례대표 공천을 주지 않았다.
이런 맥락에서 대과연의 투표 촉구 서명 운동은, 약속을 지키지 않은 정당들에게 이제는 표로써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이려는 시도로 보인다.
“광우병, 구제역, 천안함 사건 등 과학기술과 관련된 복잡한 이슈가 터졌을 때 많은 사람이 과학자들은 실험실에만 안주한다고 비판했다. …정작 과학자들이 사회 속으로 뛰어들겠다고 하니까 밥그릇 챙기기라고 비판하는 것은 논리적으로도 모순된 상황”이라는 이덕환 기초과학단체협의체 회장의 말이 떠오른다.
판검사 등 법조인은 사회 어떤 분야에 진출해도 반대 의견이 없는데, 국가 예산의 1/3이 할당되는 이공계에서 정치에 나서려는 시도는 유달리 반발이 심하다. 오히려 대과연에서는 이공계 출신이 국회에 들어가 과학 예산을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고 하고 있다. 옛날옛적 사농공상을 떠올리게 하는 고리타분한 사고 방식이 언제쯤 바뀔 것인지, 이번 국회에서는 얼마나 기대를 충족시킬지 앞으로도 계속 지켜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포항공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