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평론가] 영화
  • 정현욱 / 수학 3
  • 승인 2002.03.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영화 "A Beautiful Mind" 의 한 장면
영화
는 미국의 천재 수학자, 존 내쉬(John F. Nash, Jr., 1928~ )의 삶을 다룬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이다. 한 사람의 일생을 2시간에 담에 내기에는 어렵기 때문에 특정 부분이 강조되고 어떤 부분은 감추어 지기도 하는데 영화의 감동과 재미를 위해서 그렇게 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영화는 그의 삶을 재구성하는 허구에 초점을 맞춘 ‘픽션’ 영화이다.

존 내쉬는 1940년대 당시 최고의 수재들만 모인다는 프린스턴 대학원에 장학생으로 입학을 하였다. 영화는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웨스트 버지니아 출신의 천재인 그는 유리창을 그의 노트로 삼는 등의 독창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풀기 시작한다. 영화에서도 잘 나타나듯이 모이를 먹기 위해 모인 비둘기 떼들 사이를 서성이면서 새들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나타내기를 갈망하였다. 심지어 지갑을 훔쳐 달아나는 소매치기의 행동 패턴도 수식으로 나타내었다.

그는 상당히 내성적이고 무뚝뚝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자신감이 넘쳐 오히려 오만해 보이기까지 하였다. 그는 수업이 자신의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 방향을 방해한다고 해서 수업에 들어가지도 않았다. 그러다가 술집에서 금발의 미인을 본 친구들의 경쟁을 보면서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균형이론’을 논문으로 써 냈다. 존 내쉬는 20살에 이 논문으로 기존 게임이론에 대해 새로운 분석으로 경제학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즉 그의 27쪽짜리 논문에 의해 그는 150년간 지속되어 오던 경제학 이론을 뒤엎은 것이다. 이를 계기로 제2의 아인슈타인으로 불려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에 대한 평가는 너무도 늦게 나타났었다. 무려 50년이나 뒤늦게 경제학자가 아닌 수학자로서 노벨 경제학상 수상을 통해 그의 업적이 평가되었다. 하지만 그의 업적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가 50년 동안이나 정신분열증에 시달렸지만 그것을 극복하고 노벨상을 받은 것에 있다. 물론 그의 아내 알리샤의 많은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럼 그의 전공은 무엇이었나. 영화를 보면 그의 전공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지는 않지만 그의 논문을 통해 어느 정도 유추할 수는 있다. 그의 전공은 바로 게임 이론이다. 게임 이론이라는 용어가 약간은 생소하게 들릴 수도 있다. 두산 세계 대백과에 정리된 게임이론의 정의는 ‘경쟁 주체가 상대편의 대처행동을 고려하면서 자기의 이익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수단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행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이론’이라고 되어 있다. 게임이론은 1944년 J. 폰 노이만과 O.모르겐슈테른의 공저 <게임이론과 경제행동 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에서 이론적 기초가 마련되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잠수함 전투에 이 이론을 이용한 미국의 물리학자인 P.모스에 의해서 더욱 발전되었다. 게임이론은 주로 군사학에서 적용되어 왔으나, 경제학ㆍ경영학ㆍ정치학ㆍ심리학 분야 등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그의 논문은 경영학과 경제학 분야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존 내쉬의 실제 삶은 영화에서와는 조금 다르다. 영화에서는 존 내쉬가 정신분열증을 나타내는 이유가 구소련의 암호를 해독하면서 냉전의 공포로 인한 정신분열증세를 보인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은 그가 어렸을 적 아버지의 죽음과 한국전쟁에 대한 징병에 대한 걱정, 그리고 필즈 메달을 못 받아서 생긴 열등감이 복합적인 원인으로 작용해서 나타난 것이었다. 그리고 정신분열증을 앓으면 환상보다는 환청을 더 많이 듣게 된다. 영화에서는 영상 효과 때문에 이를 환상으로 바꾸었다. 또 존 내쉬의 아내 알리샤는 내쉬가 정신분열증을 앓을 때 이혼을 하였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영화의 감동을 더하기 위해서 이 사실을 ‘슬쩍’ 감추었다. 그래서 이 영화의 마지막 대사가 더욱 돋보였는지도 모른다.

영화의 마지막 노벨상을 받을 때 소감을 나타낸 대사는 그의 아내에 대한 고마움이 잘 나타나 있다. “제 인생에서는 가장 중요한 발견은... 모든 논리와 증명은 사랑이라는 신비스러운 공식이란 것에 있었습니다. 당신 덕분에 여기까지 왔어요. 당신은 내가 존재하는 이유고, 모든 이유는 당신입니다. 감사합니다.”

영화이기에 실제 삶보다 우리에게 더욱 큰 감동을 줄지도 모른다. 아니 더 큰 감동을 주었다. 물론 사실과 영화는 다르지만 변하지 않는 사실은 존 내쉬는 50년 동안이나 정신분열증을 앓았지만 이것을 극복하고 1994년 노벨상을 받았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