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억 5천 여만원, 교내 연구 수입원으로 제역할 못해
“대학과 공공연구소가 박사급 인력의 85%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는 기초과학, 원천기술 연구에 집중하면서도 특허를 양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다.”지난 5월, 한 신문에 김종갑 특허청장이 밝힌 내용이다. 그는 “특허가 연구개발(R·D) 성과의 중요한 잣대이며,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이 각각 R·D 예산의 10%, 13% 이상을 사용하면서도 특허 출원건수는 전체 내국인의 0.5%, 2.9%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동시에 “창출된 지식들을 지식재산권으로 관리해야 하며, 나아가 특허경영전략으로 로열티 수입을 벌어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지난 7월, 산업자원부가 국내 특허관리 및 기술이전의 실태를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공공기술이전 증가추세나, 선진국에는 크게 미흡’이라는 제목으로 보도된 이 보고서에서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건수나 기술료 수입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R·D 투입비용 대비 기술료 수입 비율이 미국에 비해 대학은 1/20, 연구소는 1/6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특허·연구관리 및 기술이전을 담당하는 인력은 미국 평균 7.8명의 반에 못 미치는 3.2명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기술이전만 담당하는 인력은 기관 당 0.5명으로 미국의 콜롬비아대학 21명, 스탠퍼드대학 31명 등과의 격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우리대학의 경우, 개교 당시부터 2005년 6월까지 출원한 지적재산권은 1423건(등록 : 613건)이며, 그 중 138건의 기술이전 사례가 있었다. 이로 인한 로열티 수입은 총 16억 원 정도로, 최근 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하지만 작년 실적만을 보면 수입 1억 5천여 만원으로 6위에 그쳤으며, 1위의 서울대학교(국·공립대학의 합)의 1/4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대학 지적재산권 관리 및 기술이전을 담당하는 창업지원팀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아직 기술이전과 관련된 시스템 구축이 되어있지 않아 큰 수입원으로의 기대는 힘들고, 현재 창업지원팀의 경우 실질적인 거래의 마케팅을 돕기보다는 특허 관리 및 지원 등의 형식적인 행정처리만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전문적인 기술가치 평가부족과 기업과의 긴밀한 연결고리의 부재로 기술의 직접적인 홍보·거래가 힘들다”고 밝혔다.
또한 지금까지의 기술이전 사례 대부분이 교수의 개인적인 능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나 대학 차원의 통합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창업지원팀 관계자는 “종종 기업이 적극적으로 기술이전 유치를 위해 교수와 직접 거래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교수의 개인적 친분으로 기업과 연락, 기술이전을 시도하고 있다”며 “많은 교수가 보통 기술이전 거래가 약속된 시점에서 학교 측에 행정적 도움만을 청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그리고 대학의 특허권 소개 및 기술이전 상담 담당기관인 포항공대 기술이전센터(iptt.postech.ac.kr)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스탠퍼드, MIT 등의 미국대학을 보면 이미 90년대 후반부터 생명, 화학, 전자 등 학위를 가진 전문가와 계약관리자 20여명이 OTL(Office of Technology Licencing)과 같은 조직을 형성하고 적극적인 상업 마케팅 활동을 함으로써 한 해에 수백억 원의 로열티 수입을 올리고 있다”면서 “우리대학은 인터넷상의 이러한 센터가 존재하지만 2003년 이후부터는 교수의 특허상황과 소개가 업그레이드되지 않고 있어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라고 말했다.
김원기 창업지원팀장에 따르면 “먼저 기술이전으로 상업적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특허의 규모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며, 아직 우리대학의 경우 1300여건의 특허가 있지만 미국 유수대학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이다. 우리도 특허가 계속 축적되면 이를 적극적으로 마케팅할 수 있을 때가 올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포항공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