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최근 무학과 제도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사실 문제는 신입생 선발 때부터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게 지금 서서히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중간고사 기간이 되면서 신입생들이 성적에 상당히 민감해져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원인은 다름 아닌 학과선택 때문이다. 학교측에서 학생들이 학과를 선택할 때 성적을 반영한다고 하자 정시로 입학하게 된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학과에 들어가기 위해서 시험에 민감해진 것이다. 물론 신입생들이 원하는 과가 적절히 분산되어 있다면 그리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언제나 그러했듯이 인기학과는 경쟁이 생기게 마련이다.
정시 모집 입학생들이 실제 학과를 선택할 시기가 되면 일부 인기학과에 몰리게 될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학교측에서는 성적에 따라 학과선택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보면 성적을 잘 받아야 원하는 학과에 갈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어쩌면 오해를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럼 공부 열심히 해서 가고 싶은 데 가면 되지 않느냐?'라고 반론을 제기하시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내가 문제시 하는 것은 그런 것이 아니다. 공부량이 많다고 투정부리는 것이 아니다. 나는 단지 학교의 홍보부족과 갑작스런 태도변화를 문제삼자는 것이다. 학교에서는 무학과제도를 처음 시작하면서 준비가 부족했던 것 같다. 지금의 신입생들 중 입학하면서 학과선택에 문제가 있을 것을 예상한 학생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때 학교에선 문제가 없을 것처럼 말했기 때문이다. 지금 학과선택에 관한 문제가 생긴 것은 학교에 책임이 있다. 학교의 준비가 부족했던 것이다.
신입생들의 학과선택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회적인 인식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입생들은 몇몇 인기학과에만 몰리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학생들만의 잘못으로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 학교에서 무학과로 학생들을 선발했다면 그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아직 그런 모습은 아직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런 학교의 태도는 조금은 무책임해 보인다. 이대로라면 진정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에 가지 못하는 신입생이 생기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신만의 적성을 찾아야 한다. 학교에서 성적을 반영한다고 해도 학생수가 적당히 분배가 되면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에 갈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적성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아직까지는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학과설명회가 가끔 있었다. 그리고 학과설명회는 점점 활성화 될 것이며 또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 내가 알기론 각 학과마다 설명회를 준비한다고 알고 있다. 그리고 물론 신입생들의 많은 참여가 필요하다. 학과설명회에서 신입생들이 자신의 적성을 조금이나마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꼭 공식적인 설명회라고 하지 않더라도 각 학과에서 가끔 모임을 가지고 그때 신입생들도 참여하여 선배들의 진솔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아직까지 보이지는 않지만 학교측에서도 신입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만 피해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꼭 자신의 적성을 찾아야 한다. 시대의 유행을 따라가기보다는 자신의 적성을 따라야 한다. 이렇게 하고 나서 그래도 일부 학과에 학생이 집중된다면 성적을 반영하는 방법은 어쩔 수 없을 것이다.
이번 무학과 제도는 앞에서 말했듯이 매우 바람직한 제도이다. 기존의 학과제도에선 없었던 자신의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입생들에게 자신의 적성을 찾을 수 있는 자리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하더라도 얼마 가지 않아 더 큰 문제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포항공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