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생명공학연구센터 김종헌 연구원
[인터뷰] 생명공학연구센터 김종헌 연구원
  • 구정인 기자
  • 승인 2004.06.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 인력관리 허술··· 기초통계조차 없어
국가차원 지원절실··· 연구원·대학원생 우대해야
- 언론매체를 통해서 우리나라 이공계 인력의 유출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

적지 않은 인력이 유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정부의 연구인력관리가 허술하여 어떤 사람이 어디서 무슨 연구를 하고 있는지도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굳이 내가 일하는 생명 분야가 아니라 IT같은 곳도 인력유출을 어느 정도 부정하지는 못할 것이다.

- 이른바 토종박사 출신 교수를 부각시키려 하는 언론의 보도태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우스운 일이다. 해외에서 들어오고 싶어도 자리를 못잡고 들어오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국내에서 학위를 마치고 교수가 된 사람들만 부각시키는 것이 이상할 뿐이다. 만일 내게 그런 인터뷰나 취재를 요청했다면 조금 기분이 상했을 것이다.

- 국내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하고 다시 미국으로 가는 데 미국을 선택할 때 장점 같은 것들이 있다면

일단 이제까지의 풍토를 무시할 수 없는 것 같다. 국내에서는 연구원들에 대한 대우가 그렇게 좋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미국에 가는 이유는 현재의 나에 대해 만족을 하지 못해서 가는 것이다. 보다 좋은 곳이나 대가가 있는 실험실에 가서 경력을 쌓고 싶어서 가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아직도 국내의 업체나 연구소에서는 암묵적으로 해외 Post-doc정도의 경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 미국의 학술적인 위치는 가히 독보적인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렇게 높은 위치에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기술력 같은 것들도 예전에 비해서는 우리나라가 많이 따라간 느낌이다. 그러나 미국이 여러 분야, 특히 이공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재편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자본력을 무시할 수 없는 연구환경상 현재 미국의 위치는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다만 우리나라의 많은 연구자들도 능력은 되지만 돈이 없어서 못하는 것들이 많은 만큼 기술적인 부분은 많이 따라갔다고 생각한다. 결국 자본의 차이에서 많은 차이가 나는 것 같다.

- 외국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인력관리나 보상체계 등에 대해서 느낀 점이 있다면.

연구를 하면서 계속 느껴왔던 것이지만 정말 인력관리가 허술하다. 국가차원에서의 정책이 필요한 상황인데 많지 않다. 국내에서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지만 자리나 여건이 충분치 못해서 결과를 내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그리고 석·박사급의 연구인력이나 연구원들에 대한 지원이 충분치 못하며 처우 또한 나쁘다.

학부생들에게만 선심성으로 장학금을 주는 현재 제도나 정책으로는 많은 이공계 연구인력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힘들다. 학부생뿐만이 아니라 대학원생이나 연구원들에 대한 사회적·금전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것들부터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좀 더 장기적으로 바라보고 이공계를 위한 정책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