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논단] 대학의 연구성과 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독자논단] 대학의 연구성과 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 송보학 / 연구진흥팀
  • 승인 2003.03.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은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첨단 과학기술을 연구하며 국가와 사회발전에 봉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식기반 정보화·산업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과학기술과 산업의 발달이 중요한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두뇌집단(Think Tank)으로서 우수한 연구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대학에서 산출되는 연구성과의 확산방안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2001년도 연구개발 관련 현황을 보면, 연구개발비는 약 16.1조원을 상회하며 전년대비 16.3%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는데 공공연구기관이 약2.1조원(13%), 기업체가 약12.3조원(76.4%), 대학이 약1.7조원(10.6%)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연구개발 인력분포 측면에서 볼 때 기관별 연구원 178,937명중에서 ▲공공연구기관에 13,921명(7.8%), ▲기업체에 111,299명(62.2%), ▲대학에 53,717명(30%)이 근무하고 있다. 특히 학위별 연구원 분포를 보면 박사급 연구원 46,704명중에서 ▲공공연구기관에 5,881명(12.6%), ▲기업체에 6,932명(14.8%), ▲대학에 33,891명(72.6%)이 근무하고 있다. 즉, 연구개발비는 기업체가 많은 비율(76.4%)을 차지하고 있으나, 박사급 연구인력은 오히려 대학(72.6%)에 더 많이 근무하고 있어 대학의 고급 연구인력과 기업체의 연구활동을 연계하여 우수한 연구성과를 산출할 수 있는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자료 : 2002년 과학기술 연구개발활동 조사결과, 과학기술부, 2002.12)

최근 우리나라도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는 대학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의 각종 연구활동 지원사업도 늘어나고 있다. BK21 사업과 정부의 연구지원사업 등에서는 대학원생 연구인력의 인건비 지원과 해외 학술교류 파견, 그리고 해외논문발표 등의 학술활동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우리나라의 SCI 논문발표 실적이 2000년은 세계 16위, 2001년은 14위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고급 연구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우수한 연구성과를 확산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방안을 언급할 수 있다.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연구분야는 광범위해지고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므로 대학에서는 학제간 연구와 전문분야별 상승효과를 통하여 ‘융합기술(Fusion Technology)’을 통한 새로운 연구분야를 창출함으로써 특성화 연구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신기술 및 미개척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기술(Nanotechno logy)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정부차원에서 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에 대한 연구활성화는 다른 분야의 연구활동 발전도 촉발하여 광범위한 분야에서 파급효과가 크다.

한편, 대학은 자체적으로 교육과 연구활동을 연계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경우 ‘STVP (Stanford Technology Ventures Program)’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것은 스탠포드대학 및 세계 공학자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육·연구 프로그램이다. STVP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프로그램이 TVC(Technology Ventures Co-op Program)이며, 이것은 우수한 학생들에게 여름학기 동안 벤처기업에서 일정 보수를 받고 일하게 함으로써 벤처기업에 대한 경험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워싱턴 대학의 공과대학 이미지 컴퓨팅 연구소는 기술이전으로 많은 수입금을 벌어들이고 있다. 공과대학원에서 가장 인기있는 강좌는 앙트레프레너쉽(Entrepreneurship, 기업가정신)이며, 여기에는 생물학과, 컴퓨터 사이언스, 바이오 엔지니어링 학생과 법학과 대학원생, MBA(경영대학원)학생, 메디컬 스쿨 학생들이 스터디그룹을 만들고, 공대생이 개발한 새로운 기술을 법대생이 특허를 내고, 경영대생이 경영을 해주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대학은 산학협력 활동으로 연구성과 확산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대학의 연구성과물은 직무발명제도를 통하여 지적재산권(특허, 실용신안 등)을 확보하고, 특허기술을 이전하여 산업체의 기술경쟁력을 향상할 수 있고, 기술료(Royalty) 수입금은 대학의 재정증대에 기여하며, 발명자에게는 적절한 보상금을 지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동기유발을 촉진시킨다. 대학의 기술이전 활동으로는 기술이전센터(TLO ; Technology Licensing Office) 운영, 기술이전 DB구축 및 표준화 작업, 외부의 기술이전 행사참여, On-Line과 Off-Line으로 보유기술 소개(Cyber Techno-Mart, 연구성과 전시실 운영, News Letter 발간), 기술이전 컨소시움 구성 및 대학과 산업체간 Network 형성, 분야별 기술이전 전문가 양성 등의 활동을 추진하여야 한다.

외국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법률 및 제도적 지원이 잘 뒷받침 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지원 위에서 대학의 연구성과물에 대한 기술이전 활동이 전문적인 지식과 산학협력의 경험을 겸비한 직원들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산학협력 운영사례는 금전적인 이익창출도 중요하지만 ‘공공이익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기여하는 측면이 우선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대학의 연구성과물이 산업체로 기술이전되고 벤처기업으로 Spin Off 되면서 국가적 차원의 기술경쟁력 상승, 지역산업의 발달, 사회적 측면에서 고용창출 및 인력유동성 제고 등의 다양한 이익이 발생하는 점을 중요시하는 것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배워야 할 교훈이다. 따라서 대학의 우수한 연구성과 확산을 위하여 내부적으로는 연구지원 인프라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끝으로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방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지방 산업체와 대학이 연계된 ‘산학협력단지(Innovative Science and Technology Belt)’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대학과 산업체의 특성화 발전모델은 미국의 SRP(Stanford Research Park, 스탠포드 대학), RTP(Research Triangle Park,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듀크 대학), Route 128(하바드 대학/M.I.T.), 영국의 CSP(Cambridge Science Park, 트리니치 칼리지), 대만의 신죽공단(칭화대), 중국의 북경대와 칭화대의 벤처 성공사례 등에서 대학의 연구인력 활동과 연구성과물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면서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사례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은 차별화와 특성화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지방 자치단체는 과학기술진흥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집중하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산학협력단지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특성화 사업단지 지정, 정부보조금 지원, 법적·세제상의 혜택을 장기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