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1건)

지난 세기에 풀지 못한 채 결국 세기를 넘긴 한국현대사의 과제는 민주화와 반세기 이상 지속되어 남북한 각각의 생산력과 사회발전의 탄력성을 갉아먹는 적대적 대치상태를 푸는 데에 있다. 이 두 과제는 사회구성원의 보편적인 의식 수준 향상과 궤를 같이 하기 때문에 동전의 양면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화는 결코 추상적인 담론의 소재가 아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말한다면 개인과 사회의 부가가치 생산 범주, 즉 돈이 되는 길을 넓히고 비생산적 낭비를 줄이는 길이다. 즉 부패와 각종 폐쇄구조를 무너뜨리고 각 사회구성원의 에너지 분출구를 열어주는 열린 사회를 지향하는 움직임을 말한다. 쉬운 예를 들어 보자. 전두환정권 시절에 ‘평화의 댐’ 공사를 둘러싸고 시끄러운 적이 있었다. 불필요한 정보차단 없이 건전한 토론문화 속에서 서울을 삼킬 댐을 만들기 위해 북한에서는 얼마나 큰 댐을 만들어야 하고 그게 가능한가 하는 상식적인 의문이 수용될만큼 열린 사회였다면 수백억원을 낭비하면서 세계에 비웃음까지 받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오늘날 국민이 부담져야 하는 금융기관의 천문학적인 부실대출도 개인적인 정실과 연줄, 관권에 의한 경제외적 요인이 지배하는 비민주적인 분위기에서 비롯된다. 그

학술 | 정태헌(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 | 2000-04-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