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사회, 그리고 우리나라의 과학 저널리즘
과학과 사회, 그리고 우리나라의 과학 저널리즘
  • 박종훈 기자
  • 승인 2003.11.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 연구활동의 사회적 의미는 바로 그 연구활동을 통해 얻어진 과학 지식이 가져올 성과물을 기대하는 데에 있다고 종종 이야기된다.

실제로 과학자 사회는 그 동안 과학의 연구활동이 어떤 결과를 내놓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연구활동에 대한 지원을 얻기 위해 사회 구성원을 설득해야 했다. 그리고 대중 사회를 설득하는 수단으로서 저널리즘도 이 설득의 과정에 포함되었다. 이제까지의 과학의 발전이 이루어낸 지식의 진보는 ‘새롭고 흥미로운’ 것을 추구하는 저널리즘의 특성에 따라 대중 사회에 소개되어 왔다.

과학 저널리즘의 사회적 역할

과학 저널리즘은 저널리즘이 단순히 과학을 홍보하기 위한 대리자 역할을 벗어나 사회와 과학지식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매체로서의 기능이 강조된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과학 지식을 사회가 공유할 때에야 비로소 과학의 발전과 과학기술의 이용에 대해 비로소 제대로 된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학자 사회와 일반 사회는 기존의 저널리즘의 형태와 다른 성격을 과학 저널리즘에 요구한다. 게다가 과학 저널리즘이 기존의 과학 교육의 대상이 아닌 일반 대중에게 실제적인 효용을 갖는 과학 지식을 전달하는 창구가 되기도 한다.

과학발전의 성과물이 과학과 사회간에 가치 갈등을 야기하는 시대가 되면서 기존의 과학 저널리즘과는 다른 새로운 역할 모델도 요구되고 있다. 현대의 과학이 내놓은 여러 가지 기술의 진보는 과학 기술에 대한 대중의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인간복제에 대한 오해, 유전자 변형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끝없는 논란, 원자력 에너지의 이용을 둘러싼 갈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에너지의 이용이나 환경문제는 끊임없이 사회의 가치 선택과 기술적 사실판단이 조율되어야 하는 문제인 동시에 모든 사회 구성원의 생활과 맞닿아 있는 현실적으로도 ‘뜨거운 문제’들이다. 과학 저널리즘은 이제 이런 가치 갈등의 문제도 성공적으로 쟁점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과학 저널리즘에 요구되는 역할과 기존 저널리즘의 성격 간의 괴리는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문제다. 과학 관련 기사는 진지함을 견지하기보다는 여전히 새롭고 흥미진진함을 추구하는 경향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이제 과학 저널리즘이 고유한 역할과 저널리즘이 갖는 특성 사이의 고민 속에서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때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과학저널리즘의 현재

현대 사회에서 과학 저널리즘의 역할은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 나라의 과학 저널리즘은 아직도 갈 길이 멀다. 대부분의 과학 관련 정보들은 홍보와 소식전달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나마도 신문이나 방송매체 등에서 전달하는 내용이 왜곡되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많다는 평가다. 과학 저널리즘에게 첫째로 요구되는 과학 지식의 사회화의 역할조차 제대로 시도하기가 힘든 상황이라는 것이다. 또, 급속한 사회발전 속에서 과학기술을 지식의 체계로 보기보다는 ‘돈이 되는 결과물’을 양성해내기 위한 생산공장의 측면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이 굳어진 탓에 과학 지식이 사회 문화의 일부분이라는 인식이 부족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과학 저널리즘은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이해수준을 높임과 동시에, 과학과 기술, 사회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사회의 구성원을 길러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과학기술의 진흥을 바탕으로 경제와 산업의 성장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라도, 아니면 생명윤리나 환경과 같은 주제와 같은 과학기술의 이용에 대해 사회적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서라도 지금 우리 사회에서 과학 저널리즘의 발전은 절실한 명제이다.

과학 저널리즘에 절실한 과학계의 참여

현재 우리나라의 과학저널리즘이 필요로 하는 것은 과학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가진 과학 저널리스트와 과학기술에 대한 믿을만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출처 확보이다. 과학자에게 과학 저널리스트가 인용하거나 출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과학 기술의 Original Text를 저술해줄 것을 요청하는 것도 이와 같은 연장선 상에 있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과학 저널리즘계가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항도 바로 과학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능력을 갖춘 과학연구자가 태부족인 현실이다. 그리고 과학 연구자에게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적 시도와 훈련 등의 방안 마련에는 거의 손을 놓은 지경이어서 별다른 개선의 가능성을 찾기란 힘든 실정이다.

그러나 과학 저널리즘의 중요성이 이렇게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도 과학계의 관심과 노력 수준은 한참 부족하다는 목소리는 수그러들 줄 모른다. 검증되지 않은 증거를 과학적 색채로 포장한 ‘물은 알고 있다’ 와 같은 책이 버젓이 과학기술서적의 베스트셀러로 오를 때나 국민들 사이에서 핵 폐기장의 필요성에 대한 의심이 제기될 때 우리 나라의 과학자 사회가 소극적이거나 무관심했던 사실은 ‘과학자 사회’를 연구하는 사람들의 주요 소재 거리이다.

과학 지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난 과학 연구자가 높은 직업적 성취를 얻는다는 조사 결과는 하루가 멀다 하고 인용되는 바람에 이미 벌써 진부한 이야기가 되어버렸을 정도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지식인 과학 지식의 생산자들이 그 내용을 사회와 공유할 줄 모르는 ‘벙어리’ 신세를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과학 저널리즘에 대한 과학계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낼 저변을 마련하는 일이 너무나도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