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릇된 역사, 이제는 바로잡아야 할 때
그릇된 역사, 이제는 바로잡아야 할 때
  • 김건창 기자
  • 승인 2018.10.10 23: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60년대 초, 당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정통성의 문제를 타파하기 위해 경제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었고, 이를 위한 자금 마련을 정권의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정부는 이의 일환으로, 일본과의 국교를 정상화해 식민지배 배상금을 받아내고 그 자금으로 여러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그러자 국민들은 ‘제2의 경술국치이자 을사늑약’이라며 반발했다. 4·19 혁명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이었던 1964년 6월 3일, 많은 국민들은 다시 한번 거리로 나와 울분을 터뜨렸다. 이것이 바로 6·3 항쟁이다.


국민들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경제 발전을 위해 국교 정상화는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박정희 정권은 이듬해 일본과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한다. 그러나, 차관 포함 8억 달러 중 단 9.7%만이 일본군 ‘위안부’, 강제징용 등의 전쟁 범죄 피해자에게 보상됐고, 나머지는 모두 산업 기반 시설 등 경제 개발에 투자됐다.


이처럼, 빛나는 경제성장의 이면에는 울분의 근현대사를 제대로 짚고 넘어가지 못했던 순간들이 있었다. 그 결과 독립운동가의 후손이 기초생활수급자가 되고, 친일파의 후손은 대부호가 되는 경우도 생겨났다. 전쟁 범죄 피해자들은 제대로 된 보상조차 받지 못한 채 하나둘씩 세상을 뜨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이런 모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무척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과거엔 모두가 먹고살기에 바빴던, 가난하고 혼란스러웠던 나라였기에 이를 미처 신경 쓰지 못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도 경제 대국의 반열에 오른 만큼, 그릇된 역사 하나 바로잡지 못하는 것은 우리 스스로나 후손들에게나 더없이 부끄러운 일일 것이다. 앞으로 이런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우선, 국가는 피해자들과 국민에 눈높이를 맞추고 공감할 필요가 있다. 피해자들의 의견을 철저히 배제해 국민의 공분을 샀던 2015년의 ‘한일 위안부 합의’와 같은 일은 다시 반복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피해자에 대한 몰이해를 바탕으로 시행된 정책으로는 결코 역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외교를 할 때는 어떤 경우에도 역사의식을 잃지 말아야 한다.


일본은 전후 7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위안부’ 등의 전쟁 범죄와 침략을 정당화하고 이를 왜곡하는 데에 몰두하고 있다. 우리 정부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해상 자위대가 욱일기 사용을 고집했던 이번 제주 국제 관함식 사건에서도 볼 수 있듯, 일본은 전쟁 범죄에 대한 문제의식을 느끼지 않고 있는 듯 보이기도 한다. 비록 지난 세월 동안은 정치·경제적 이해에 따라 일본의 의도대로 끌려왔다고 할지라도, 이번 사건에서 우리 정부가 강력하게 항의한 것처럼 이제부터는 역사를 바로잡기 위한 옳은 목소리를 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지금보다도 더욱 올바른 역사 교육에 힘을 쏟아 국민들의 역사의식 함양을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흔히 역사 공부를 하는 것은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기 위함이라고 한다. 지난 실수를 바로잡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과거를 철저히 분석하고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사회 전반에 역사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뿌리내려야 하는 이유이다.


‘파사현정(破邪顯正)’이라는 말이 있다. 잘못된 것이 있으면 깨뜨리고 바로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앞으로 우리의 근현대사도 이 사자성어처럼 바로잡힐 수 있을지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