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1건)

높은 수월성을 요구하는 한 정부연구과제의 심사위원 명단이 최근 공개되었다. 심사위원 소속기관과 연구업적을 보며 심사위원으로서의 적격성에 의구심을 갖게 된다. 이들은 발표평가 중에도 제안 내용이나 아이디어에 대해 잘 파악을 못하고 핵심을 비켜가는 질문을 할 때가 많다. 심사위원이 제안 내용에 대해 비전문가이다 보니 어찌보면 당연하다. 학연과 지연을 배제하고 심사위원을 소극적으로 선정하는 국내 평가시스템에서, 비전문가에 의한 과제평가는 일반화되었다. 그러다 보니 연구제안의 우수성보다는 논문업적의 정량적 지표가 평가를 좌우하는 경향이 크다. 연구과제 평가의 문제만이 아니다. 포스텍에서 승진, 테뉴어, 교원업적 외에 신임교원 후보자를 평가할 때에도 정량적 지표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평가대상자의 수월성을 판단하는 힘겨운 과정을 거치기보다 업적의 정량적 수치에 의존하여 손쉽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연구의 동기가 연구의 수월성보다는 논문의 정량지표 향상으로 치우쳐 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바람직한 것일까? 물론 정량지표가 향상되면 연구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정량지표가 높은 논문이 좋은 논문이라는 공식은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다. 연

노벨동산 | 제정호 / 신소재 교수 | 2015-09-09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