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1건)

얼마 전, 우리대학 총학생회는 이례적으로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총학생회에서 쓴 시국선언문을 읽으면서 논리 정연하게 잘 쓴 글이라 생각했지만, “과학도라는 변명으로 시국을 외면하기보다”라는 구절이 우리 학우들이 여태껏 ‘과학도’라는 이름 뒤에 숨어 당면한 사회적 문제를 도외시해왔음을 의미하는 것 같아 마음에 걸렸다. 과학도라는 사실이 시국을 외면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없다.현대 사회에서 과학도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그 이전보다 더욱 커졌다.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은 ‘과학도’가 만든 것이고 미국 대선에서 오바마 대통령 당선에 기여한 빅데이터 역시 과학도가 만든 작품이다. 과거에는 연구실에서 밤새 연구하여 연구 성과를 내는 것이 과학자의 최고 덕목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자신의 연구 성과가 사회에 주는 영향력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행동하는 과학자’가 되어야 한다. 아인슈타인이 핵무기를 반대하며 ‘행동하는 과학자’로 칭송받는 이유도 자신의 연구 결과에 대해 책임을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21세기에 ‘과학도’들은 사회 변화의 최전방에 서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과학도’들은 본인들이 만들어 나가야 할 세상에 책임을 져야 하고 ‘시국’에 관심이 있어야 한다. 나

지곡골목소리 | 김현우 / 물리 15 | 2016-12-07 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