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경영대학원
기술경영대학원
  • 허선영 기자
  • 승인 2012.05.23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입생 없는 기술경영, 정부 지원 사업 대학원의 미래는?
우리대학 기술경영대학원(이하 기술경영)이 2013년도부터 신입생을 받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어 본 대학원생(이하 원생)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학교 측에서는 ‘더는 신입생을 받지 않는 것이지 학과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이에 대해 명확히 선을 긋고 있지만, 원생 측에서는 사실상 앞으로 신입생을 받지 않게 되면 향후에는 결국 학과가 사라질 것이라 받아들이고 있다. 학교는 일단 현재 재학생은 최대한 피해 없이 졸업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원생들이 원하는 것은 정상 졸업의 차원이 아니다. 기술경영 대표 성상현(기술경영 박사과정) 씨는 “기술경영은 인적네트워크를 중요시하는 학과다. 학생들은 앞으로 자신의 인적네트워크를 넓히고자 하는데, 신입생을 받지 않으면 그 기회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냐”라며 유감을 표했다.
기술경영의 위와 같은 결정에는 복합적인 이유가 존재하지만, 학교에서는 기술경영이 독립채산 기관으로서의 자생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근본적인 이유로 꼽고 있다. 기술경영은 2007년 3월 지식경제부(전 산업자원부)와 교육과학기술부(전 교육인적자원부)의 공동지원을 받아 학제간 협동과정으로서 개원했다. 개원 당시 골프ㆍ와인 특강을 받을 수 있는 ‘비즈니스 교양’ 등의 독특한 교육과정과 장학금ㆍ생활비 지원으로 시선을 끌었고, 2009년에는 기술경영의 연구 결과가 호평을 받고 있다는 보도 기사가 지역신문에 실리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 9월 정부 사업이 종료되면서 정부 지원이 끊기자, 학교에서는 더는 기술경영에 자생능력이 없으리라 판단하고 신입생을 받지 않기로 한 것이다.
사실 정부 지원을 받을 당시에는 전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장학금을 지급 받았으나, 재작년 신입생부터는 그마저도 불가능해 등록금을 내면서 수업을 들었다. 원생들은 등록금으로라도 학과를 유지할 수 있다고 피력하나, 학교는 우리대학이 등록금으로 운영하는 대학이 아닐뿐더러 등록금으로만 유지되었을 경우 복지의 질이 많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한다.
또한, 기술경영의 문제점의 하나로 거론되는 것이 신입생의 낮은 등록률이다. 기술경영이 처음 개원할 당시는 전국에서 우리대학을 포함해 정부 사업자로 채택된 서울대ㆍ성균관대ㆍ한국교육기술대 4개 학교에만 기술경영대학원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고려대ㆍ서강대ㆍ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이 전문대학원 형태로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대학원은 시간제(part time)로 운영하여 학위취득이 더욱 쉽고,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다는 지역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대학은 재작년부터 전액 장학금 지급까지 중단돼 우리대학 기술경영대학원만의 희소성을 점차 잃어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경쟁률/입학률 자료에 따르면, 등록금 지원이 중단된 2010년도부터 경쟁률/입학률이 점차 감소하여 2012년도에는 2007년도 경쟁률/입학률의 60% 수준에 그쳤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학교로부터 기술경영이 더는 신입생을 받지 않는다는 통보를 받은 후, 원생들은 학교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호소했으나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성상현 씨는 “학교의 갑작스러운 결정이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었다. 하지만 학교의 결정을 학생들은 어쩔 수 없이 따라야 하는 입장”이라며 안타까워했다.
원생 측은 이를 ‘전임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라 말하고 있다. 현재 기술경영에 속해있는 전임교원은 총 3명이다. 이 중 2명은 타과 겸직 교수이며 다른 1명은 벤처 운영을 겸하고 있어, 현 전임교원 대부분이 기술경영에 50% 이상 속해 있지 않은 상태다. 전임교원 한두 명의 차이가 학과의 흥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기술경영의 장래는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사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기술경영만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 사업으로 학부과정 없이 개원된 풍력대학원 등도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다. 이러한 대학원은 정부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을 당시에는 학과 운영을 활발히 하고 학생들에게 좋은 교육 환경을 제공하지만, 정부 사업이 종료되고 지원이 끊기면 학과의 맥이 곧 풀려버린다. 이러한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학교의 일방적인 통보를 받아야 할 수밖에 없는 학생들이다. 앞으로 우리대학이 이러한 대학원을 어떻게 해결할지는 미지수이나, 무엇보다도 학과를 구성하는 원생들과 사전에 충분한 협의를 거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