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문학으로 본 감옥] 생명과 정화의 공간, 감옥
[서평-문학으로 본 감옥] 생명과 정화의 공간, 감옥
  • 김혜리 기자
  • 승인 2000.08.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학에 있어 감옥, 양심수라는 단어는 우리 시대의 슬픈 단면을 말해준다. 남북이 갈리고 유신체제를 겪으면서 수천 명의 정치 사상범이 생겼고 감옥에 갇힌 많은 지식인들은 독서와 글쓰기로 마음을 달랬다.

축축하고 좁은 감옥, 그 안은 신영복 선생이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서 “모로 누워 칼잠을 자야 하는 좁은 잠자리는 옆사람을 단지 37℃의 열덩어리로만 느끼게 합니다. 이것은 옆사람의 체온으로 추위를 이겨나가는 겨울철의 원시적 우정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형벌 중의 형벌입니다.”라고 말한 것처럼 원시적인 공간이다. 특히나 장기수들의 생활은 시인 고은 선생이 ‘기약할 수 없는 세월 저쪽에서 이쪽까지의 잔인한 시간을 거의 초인간적으로 살아낸 그이들은 생명이기보다 암석쪽‘이라고 할 만큼 처절하다.

그러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 우리 시대의 고전이라 불리는 까닭은 엽서와 휴지조각에 빼꼼히 적혀 있던 이 글들이 가슴을 울릴 만큼 따뜻하고 나아가 자신과 시대를 성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고통스러운 속에서 나오는 평화의 목소리는 인간의 마음 가장 깊은 곳에 가 닿는 조용하고도 강력한 호소력을 가진다.
70년대를 논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인물, 김지하씨의 감옥을 말해보자. 억압적이고 부정적인 세력에 대한 직접적 저항이 김지하 시의 전반기를 이루었다면, 그 죽음의 세계조차 순치시키고 포용시킴으로써 생명의 문화를 재건시킨 세계가 후반기를 이룬다. 이 전향점의 위치가 바로 감옥이다. 차가운 감옥 안에 떨어진 씨앗에서 싹이 트는 것을 보고 끝없이 통곡했다는 김지하씨는 요즈음 율려문화운동을 벌이고 있다. 생명사상의 연장선을 잇는 이 운동은 생명이 죽은 감옥 바닥에서 싹을 틔웠다는 것은 감옥이라는 단어의 느낌에 새로움을 더한다.

김대중 대통령의 <옥중서신>은 그가 야당시절 2년 9개월 동안 투옥되어 있을 당시 감옥에서 보냈던 편지 29통과, 가족들에게 차입을 부탁했던 책의 목록편지를 묶은 책이다. 김대통령은 신학. 철학을 포함한 인문학과 경제분야에 치밀한 독서가이며 책벌레로 유명하다. 이 책은 문명비판으로 읽어도 손색이 없고, 야스퍼스 ‘철학적 신앙’ , 니체 ‘이 사람을 보라’ 등의 독서목록은 지금도 낡지않은 권장도서 목록이다. 아웅선 수지 여사는 <옥중서신>의 스웨덴판 서문에서 “인류애에 뿌리를 둔 종교적, 정치적 원칙들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라고 평가한다. 투옥 생활은 그에게 독서와 역사의 본질을 성찰할 시간을 제공했다고 대통령 스스로 말한다. 캐나다의 한 칼럼니스트는 ‘한국대통령 감옥에서 성숙했다’는 칼럼을 쓰기도 했다.

<오늘은 새롭게>는 박노해 시인이 8년여의 감옥 생활을 마치고 처음으로 쓴 시명상집이다. 그동안 일부 진보세력에서는 박시인의 행보를 두고 변절을 했다든지 언론의 상품이 됐다면서 부정적으로 평한 경우가 많았다. 박시인은 이 책을 통해 자신에 대한 오해를 풀어낸 뒤 감옥 안에서의 사색을 통해 새롭게 도달한 진보와 운동에 대한 생각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 열렬한 고독 가운데/옷자락을 나부끼고 호올로 서면/운명처럼 반드시 ‘나’와 대면케 될지니.” 감옥을 이렇게 이육사의 시처럼 치열한 자기내면 탐구와 정화의 공간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은 산고 끝에 태어난 이 작품들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