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교육의 현재-교육철학 정립과 장기발전계획 시급
인문사회 교육의 현재-교육철학 정립과 장기발전계획 시급
  • 황희성 기자
  • 승인 2004.12.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문과목을 듣고 싶어도 뭘 들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인문과목은 그냥 학점 메우려고 듣는 것 같아요.” “아무리 이공계 학생 대상 수업이라고 해도 너무 얕게 가르치는 거 아닌가요? 좀더 다양하고 깊은 수준의 수업을 듣고 싶어도 학교 내에서는 불가능해요.” “사실 전공과목 따라가기도 벅찬데 가끔가다 재미없는 인문학부 수업 듣다 보면 시간만 뺐기는 것 같아서 귀찮아요.”
학우들과 인문학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자주 나오는 말들이다. 이렇듯 요즘 학우들에게 인문학부 수업은 ‘귀찮거나, 깊이가 얕거나, 학점을 메우기 위해 듣는 수업’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인문학부의 홈페이지를 보면 첫머리에 우리대학에서의 인문학부의 방향을 소개하고 있다. ‘포항공대는 국제화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바, 국제화가 강조될수록 자기 문화, 자기 사회에 대한 인식과 자부심이 함께 강화되어야 하는 것이 국제화 시대의 교육이다. 우리 말 잘하기, 우리 글 잘쓰기, 우리 문화 잘알기 및 우리 이웃 돌보기의 교육은 인문사회학부가 제공할 수 있는 ‘한국화’ 교육이다’라는 마지막 단락에서 볼 수 있듯 인문학부 교육은 우리대학 학부교육에서 크나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높은 수준을 유지해야 할 교육 만족도가 어째서 하락하고 있는 것인가. 첫 번째 원인으로 많은 이들이 교육철학의 재정립 실패를 들고 있다.

개교초기, 김호길 초대총장은 “포항공대의 목표 중 하나는 포항공대가 현대의 도산서원으로 기능하는 것”이라는 말과 함께 퇴계학의 권위자인 권오봉 교수를 초빙하여 교양 필수과목으로 한문을 편성했다. 학생들이 유학과 과학을 섭렵한 통합적 지식인으로 자라 학교를 졸업하기를 원했던 김 총장의 목표는 그가 94년 급서하고, 후에 권 교수마저 학교를 떠나면서 후임교수가 영입 되지않아 흐지부지 되었다.

그 후 94년, 98년에 교과과정 협의회의 논의를 통해 교육철학의 재정립이 시도되었지만 이것이 성공적이었는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지적이 많다.

임경순 교수(인문)는 “현재 인문학부는 교육철학과 그에 수반한 장기적 발전계획이 없는 상태다”며 “개교초기의 철학으로 돌아가자는 것은 아니지만, 구성원들의 고민과 토론을 통한 발전방향 모색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홍기상(전자 교수) 교무처장도 “기존 과목들의 스트럭처(structure)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며 “어느 과목이 부족하고 보강이 필요한지를 알고,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면 스트럭처가 꼭 필요하다”고 말해 방향정립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전공과의 연관성 부족 역시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임 교수는 “현재 학문의 세계적 조류는 학제간 연구로 흐르고 있다”며 “지금부터 따라가도 늦을 판에 시기상조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해 인문학부와 타 이공계 학과와의 교류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필요한 분야의 교수 영입부족 역시 교육 만족도 저하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문학부의 교수 정원은 15명 선을 유지해 왔으나 교수들의 타 대학 전직이나 정년 퇴임 등으로 현재 숫자는 10명으로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게다가 사회과학 분야의 경우 한 명밖에 남아있지 않아 이 분야의 질 높은 교육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대해 많은 교수들은 인문학부 대학원이 없다는 것을 교수영입에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했다. 이재성 전 학생처장(화공 교수)은 “자기 랩이 없으면 연구에 제한이 생길 수 밖에 없다”며 대안으로 학생들에게 지적 자극을 줄 수 있는 경륜과 명망을 갖춘 학자를 영입하는 차선책을 제시했다.

교육철학 정립, 학제간 연구촉진, 교수 영입 부진 등의 산적한 문제들의 해결책에 대해 여러 교수들은 “재단, 학생, 교수, 대학본부를 아우르는 구성원 간의 논의와 고민, 그리고 그에 이어진 강력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문학부의 발전은 이미 인문학부만의 과제가 아니라 대학의 세계적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 중 하나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지금, 구성원들의 치열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