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윤리교육 받지 못했다”, “67% 생명윤리 법적 기준 마련해야”
“51% 윤리교육 받지 못했다”, “67% 생명윤리 법적 기준 마련해야”
  • 정리 : 김주영 기자
  • 승인 1970.01.0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RIC - SciON 설문조사 <황우석 연구팀 ‘난자 채취’ 윤리논란>
▲ 황 교수팀의 여성 연구원의 난자 기증에 대해 59%가 문제가 있다, 41%가 아무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황우석 교수가 연구에 연구원의 난자와 매매된 난자를 사용했다는 사실과 이것이 국제적인 과학 윤리에 어긋난다고 밝혀진 것은 생물학 관련 연구자들이 과학 윤리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에서는 이번 사건과 관련, ‘황우석 교수, 난자채취 의혹’에 대한 생물학분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지난달 23일 오후 4시부터 24일 오후 4시까지 24시간 동안 실시됐으며 총 969명이 참여했다. 문항은 총 9개로 구성되었으며 생명 윤리에 대한 인식과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물었다.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생명공학 실험과 관련한 윤리 교육을 받아보았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51%가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전혀 없다’라고 답했다. 28%가 ‘연구책임자(지도교수)나 실험실 선배로부터 간단한 이야기를 들은 정도’라고 답했으며 ‘공식적 수업이나 강연을 3회 이상 받은 경우’는 5%에 그쳤다.

‘1964년 국제적으로 제정되었으며 연구원 난자채취를 금하고 있는 헬싱키선언에 대해 이번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들어본 적이 있나’라는 질문에는 46%가 ‘없다’고 답했다. 39%가 ‘들은 적은 있지만 내용은 잘 모른다’고 답했으며, 15%만이 ‘들은 적도 있고 내용도 잘 안다’고 답했다. 국내 생명공학 관련 실험의 윤리성을 심사하는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에 대해서도 19%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잘 안다’고 답했으며 42%가 ‘모른다’, 40%가 ‘이름만 들어서 알고 구체적으로 어떤 곳인지 모른다’라고 답했다.

‘황 교수팀의 여성 연구원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난자를 제공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41%가 ‘자발적이었으므로 아무 문제가 없다’고 답했으며, 29%가 ‘자발적이었지만 윤리적으로 문제 있다’, 30%가 ‘자발성에 관계없이 문제 있다’라고 답했다. 또한 윤리 교육 유무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1회 이상이라도 공식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사람일수록 자발성과 상관없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황우석 교수 연구과정에서 난자 취득 시 발생한 문제에 대해 38%가 ‘법적, 제도적 기준 마련에 미비했던 정부’, 33%가 ‘줄기세포연구의 총괄책임자인 황우석 교수’가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불법 난자 매매를 자행한 미즈메디 병원’이 11%로 그 뒤를 이었다. 윤리 교육을 전혀 받지 않았다고 답변한 사람 중 40%가 정부의 잘못이라 지적한 반면, 3회 이상 공식적인 교육을 받은 연구자는 정부의 잘못과 황우석 교수의 책임이라는 답변이 각각 32%로 같았다.

이번 논란과 유사한 생명 윤리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응답자의 67%가 ‘법적, 제도적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답했으며, ‘전담기구 신설’(10%), ‘국제기구로부터 감독 실시’(10%), ‘학점이수 의무화’(8%)가 그 뒤를 이었다.

- 자세한 설문조사 결과는 SciON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