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흥해공고 유재국 실업부장
[인터뷰] 흥해공고 유재국 실업부장
  • 이현준 기자
  • 승인 2003.10.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능인력에 대한 사회적 대우개선 필요
일선 고교에서 실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흥해공고 유재국 실업부장을 만나 기능인력양성의 장에서 그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았다.

- 공업계 고등학교가 현장인력양성 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지 못하다는 평을 듣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업계고등학교의 위상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산업사회에서는 기능공 양성이라는 뚜렷한 목표를 지니고 있었지만,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적절한 위상을 찾지 못해 많은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대처하여 공업계고등학교의 역할을 하루빨리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공업계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산업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생기는 문제는

전공과 무관한 단순 작업에 종사하게 되는 것이 큰 문제이다. 공고에서 일정수준의 전문 기술을 쌓은 인력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단순작업에 배치되어 일에 대한 보람을 느끼기 힘들다. 그리고 과다한 노동시간과 저임금에 의존하는 기업체의 구조, 부족한 전문화 설비로 인해서 과도한 수작업에 종사해야 하는 현실도 산업 인력이 이탈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 공업계고등학교의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능력이 있는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의가 없지만, 수학 능력이 모자라는 학생들이 진학을 하여 적응을 못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큰 손실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전공이나 희망과 연계되지 못하는 진학은 무의미하다고 생각된다.

- 1차적인 이공계 지원책이 시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앞으로 실시되기를 바라는 공업계 고등학교 관련 정책은

과거와는 달리 현재 산업인력양성에 대한 지원책이 공업계고등학교가 아닌 전문대학에 집중되면서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학력저하와 시설투자 부족 등의 결과를 낳았다. 대졸자와 공업계고등학교 졸업자들이 해야 하는 역할이 따로 있는 만큼 산업발전을 위해서는 균형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또 학교운영면에서는, 교육과정에 융통성을 주어 학교별로 다양한 코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별로 다양한 전공운영이나 학생 선발에 자율성을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 전국기능경진대회에서 수상해도 취업이 어려울 정도로 기능공을 대우해주지 않는 사회현실과 실업과 교사들에 대한 낮은 처우도 개선해야 할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