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문제 그 투쟁의 역사 - 지나온 70년의 이야기
일본군 위안부 문제 그 투쟁의 역사 - 지나온 70년의 이야기
  • 박민해 기자
  • 승인 2017.12.06 0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가 너에게 70년의 삶을 설명하는 동안 70년의 삶이 지나갔다. 나는 여기에 있는데 너는 어디로 갔는가?” 작가 배홍진이 ‘위안부’ 피해자 故 강덕경 할머니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에세이 ‘그림 속으로 들어간 소녀’ 속 한 구절이다. 할머니들이 거쳐 온 70년 동안에는 도대체 무슨 굴곡이 있었을까.
1932년 제1차 상해사변이 발발하고 상해에 주둔해있던 일본군은 군인들에게 위안을 준다는 명목으로 군 위안소를 조직적으로 설치했으며,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종전 선언이 있기까지 일본군의 이런 ‘위안부’ 제도는 매년 더욱 확대됐다. 1942년 9월 3일 자 일본 육군성 보고서는 당시 해외의 위안 시설이 400여 곳이라고 집계했을 정도다. 그러나 종전 후에 일본에 대한 전범 재판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1965년 한일 양국 정부는 한일기본조약을 조인했는데, 이때 우리나라 정부는 일본 정부로부터 받은 무상자금과 차관을 피해자들에게 전혀 전달하지 않은 채 국가 자금으로 사용했다. 일본은 이 조약을 통해 우리나라에 대한 모든 법적 배상과 책임을 끝냈다고 주장한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 때문에 피해 사실을 드러내지 않다가, 1991년 8월 14일 故 김학순 할머니가 기자회견을 열어 국내 최초로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적으로 증언했다. 얼마 후 1992년 1월 8일에는 미야자와 기이치 전 일본 총리가 방한하자 할머니들을 포함한 시민들이 제1차 수요 시위를 개최했다. 수요 시위는 지금껏 단일 주제로 개최된 집회 중 세계 최장기간 진행되고 있으며, 이 기록은 매주 경신되고 있다.
1993년 고노 담화, 1994년 무라야마 담화에서는 각각 고노 요헤이 전 일본 관방장관과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과의 뜻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인 발언에 불과했고, 이후 국제법률가협회, UN 인권 소위원회, UN 여성차별 철폐 위원회, 미국 의회 등 수많은 단체가 일본에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 등을 권고했지만 무시당했다.
‘위안부’와 관련해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것은 2015년 12월 28일에 있었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외교장관 회담, 즉 ‘위안부’ 한일 합의다. 일본 정부는 10억 엔(당시 환율 기준 한화 약 100억 원)을 합의금으로 지급했고,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전 일본 외무상은 공동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가 조치를 착실히 이행하면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되는 것”이라고 발표했다. 할머니들은 “돈이 탐 나서 싸우는 건 절대 아니다”라고 반발했고, 수요 시위 역시 한일 합의의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 수는 하루가 멀다고 줄어들고 있다. 지난 5월 31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생활안정 지원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위안부’ 피해자 239명 중 생존자는 38명에 불과하며 그 평균 나이는 무려 90.4세다. 당장 지난달 11일에도 故 이기정 할머니의 별세로 생존자 수는 33명이 됐다. 할머니들의 목소리가 더 작아지기 전에, 우리는 ‘위안부’ 문제에 꾸준한 관심을 두고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