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인식은 얼굴을 이용하여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지문, 홍채, 정맥 인식과 함께 대표적인 생체 인식 분야이다. 또한 데이터 획득을 위해 특정 장치나 환경이 필요하며 사용자의 접촉 또는 특정한 동작을 요구하는 타 생체 인식 방법과 달리, 얼굴 인식은 비접촉식이며 카메라 외에 특별한 장치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최근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얼굴 인식은 사람마다의 고유한 얼굴 특성에 기초하고 있지만 표정, 포즈, 조명, 장신구 착용, 화장, 성형, 노화 등에 의한 얼굴 변화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얼굴 인식 연구는 1973년 미국 CMU의 Kanade 교수의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얼굴 영상이 갖는 다양한 변화를 극복하면서 인식 성능을 높이는 것이 쉽지 않아서 오랫동안 관심을 끌지 못했으나, 1990년 이후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영상처리, 패턴인식 기술의 비약적인 성장으로 컴퓨터 비전 분야의 핵심 연구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얼굴 인식 과정은 크게 얼굴 검출과 얼굴 인식의 2단계로 구분된다. 얼굴 검출 단계에서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 및 눈·코·입 등의 얼굴 구성 요소를 추출한다. 초기에 많이 사용된 피부색 모델링
학술 | 전봉진 / 컴퓨터공학과 지능형미 | 2008-06-11 00:00
하늘의 별을 바라볼 때 별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둘이 겹쳐 보인다면, 그렇게 어지러운 별들을 바라보며 시를 읊을 수 있었을까?보통 우리 주변에 있는 물체를 볼 때와는 달리 수조 km 이상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망원경에 사용되는 광학계는 비구면(구면이 아닌 곡면)이며, 표면을 나노미터(1mm의 백만분의 일)급 정밀도로 가공해야 한다.목표로 하는 초정밀 광학 면을 가공하기 위한 광학계 가공 기술은 연삭(grinding), 래핑(lapping), 연마(polishing), 피겨링(figuring) 등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각 단계를 거치면서 광학 면 표면의 거칠기는 대략 1/10로 줄어들게 된다. 즉, 연삭 공정에서는 수 마이크로미터급으로 가공하고, 래핑 공정에서는 수백 나노미터급으로 가공하여 점차 거칠기를 줄여나가게 된다.광학 가공 연구자들은 각 공정을 보다 자세히 이해함으로써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려는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하지만 광학 소재를 초기에 가공하는 연삭 공정에서는 많은 양의 소재를 자르고, 파내고, 문지르는 등 매우 복잡한 가공 공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삭 공정을 이해하려는 모델을 물리적·경험적 모델 등
학술 | 한정열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 | 2008-04-16 00:00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으로 세계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현재의 웹 2.0 환경에서 우리는 이미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위키(wikis), 포탈(portal), 디지털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 등과 같은 용어에 익숙해져 있다. 웹 3.0 환경(시멘틱 웹, the semantic web : 컴퓨터가 웹상의 자원들의 의미를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웹, 2005~2020년 예상)으로 넘어가면서 우리는 지능형 에이전트(intelligent agent), 온톨로지(ontology),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 시멘틱 블로그(semantic blog)와 같은 용어들에 익숙해지게 될 것이며, 관련 기술들로 인해 우리의 삶은 다시 한 번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웹 4.0 환경(유비쿼터스 웹, the ubiquitous web : 2015~2030년 예상)에서는 지금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세상이 변하게 될 것이다.뉴스 기사를 하나 살펴보자. “10년 뒤 ‘재택근무 가상기업’ 뜬다”(연합뉴스 2008년 3월 14일자)라는 제목의 기사
학술 | 문정태 / 산경 박사과정 | 2008-03-26 00:00
CSA(Cambridge Scientific Abstracts)사에서 제공하는 Community of Scholars(이하 CoS)는 전문 연구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전 주제 분야에 대한 연구자 정보와 연구 커뮤니티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CoS는 200개가 넘는 학술 주제 분야에 대하여 미국·영국·캐나다·호주 등 8개국의 영어권 국가에서 활동 중인 약 100만명 이상의 전문 연구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자들의 이력 사항, 연락 정보, 소속 기관, 활동 분야, 학위 수여, 개인 웹 사이트, 이메일 정보 및 출판 이력 등에 대한 자세하고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자 정보를 검색하는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CoS 데이터베이스는 관심 있는 주제 분야에 대하여 현재 연구 중인 커뮤니티와 다른 전문 연구자들에 대한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진행 중인 전문 연구자들의 커뮤니티를 검색함으로써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있는 연구 관점, 출판물, 연구 방법론, 전문적 기술 또는 지식, 공동 연구와 상호 협력의 기회를 제공하고 네트워크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CoS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주제 분야를 살펴보면 농업·보건학
학술 | 유화수 / 학술정보팀 | 2007-09-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