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우리대학 학생들의 성의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수준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해, 성폭력에 관한 제도적 기구의 필요성을 함께 묻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전반적으로 생각해 볼 문제인 성에 대해서 우선은 남녀비율의 불균형, 전원 기숙사 생활 등의 특수한 환경에 있는 우리학교 학생들의 의식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44명(남학생 174명, 여학생 70명)이 설문에 응하였다.먼저 성에 관련된 지식은 주로 어디서 얻느냐는 질문에 30% 이상의 학생이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슷한 분포로 TV 등의 대중매체나 주위의 친구나 선배들로부터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많은 수가 인터넷을 통해 얻는다고 답했으며, 여학생의 경우 친구나 선배로부터 지식을 얻는다고 답했다. 기타의견으로 책이나 서적을 이용해 성에 대한 지식을 얻는 학생도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현재 대학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성폭력 학칙 제정에 대해 83.6%의 학생들이 모른다고 답하여 우리대학 학생들과 다른 대학과의 괴리감은 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학칙 제정운동의 인지도가 낮은 반면, 반
취재 | 곽근재 기자 | 2001-06-14 00:00
지난 8일, 우리대학 학생들의 성의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수준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해, 성폭력에 관한 제도적 기구의 필요성을 함께 묻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전반적으로 생각해 볼 문제인 성에 대해서 우선은 남녀비율의 불균형, 전원 기숙사 생활 등의 특수한 환경에 있는 우리학교 학생들의 의식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44명(남학생 174명, 여학생 70명)이 설문에 응하였다.먼저 성에 관련된 지식은 주로 어디서 얻느냐는 질문에 30% 이상의 학생이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슷한 분포로 TV 등의 대중매체나 주위의 친구나 선배들로부터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많은 수가 인터넷을 통해 얻는다고 답했으며, 여학생의 경우 친구나 선배로부터 지식을 얻는다고 답했다. 기타의견으로 책이나 서적을 이용해 성에 대한 지식을 얻는 학생도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현재 대학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성폭력 학칙 제정에 대해 83.6%의 학생들이 모른다고 답하여 우리대학 학생들과 다른 대학과의 괴리감은 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학칙 제정운동의 인지도가 낮은 반면, 반
취재 | 곽근재 기자 | 2001-06-14 00:00
최근 인터넷이 개방적 형태의 통신이라는 고유한 특성과 함께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와 멀티미디어 및 통신기술 등 정보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전자상거래가 산업계의 핫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제품 및 서비스가 생산되어 고객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전과정을 정보기술에 기초해 통합한 새로운 형태의 상거래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정형화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미지, 비디오, 음성 등과 같은 비정형적인 데이터를 비롯하여 CAD/CAM과 같은 생산 및 기술 데이터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각종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전자문서교환(EDI), 인터넷, 전자우편, 바코드(Bar-code), 데이터베이스, 전자게시판, 전자지불(Electronic Payment System) 등 다양한 정보기술이 통합적으로 활용된다.전자적인 매체를 이용한 상거래 방식은 광고를 포함하여 거래에 필요한 정보의 교환, 전송 가능한 상품 자체의 전송 및 자금결제 등 정보의 수집, 배포에서부터 협상, 계약, 주문, 배달 및 대금청구, 지불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거래대상에는 가구, 의복 등의 물리적인 상품 뿐만 아니라 음악, 인쇄물 등 온라인 상에서 직접 제
취재 | 황현석/ 산공 박사과정 | 2001-05-09 00:00
1970년대 유전자 재조합과 유전자서열이 결정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생명현상을 분자 차원에서의 설명이 가능해지게 되었으며, 인슐린 등 약 효과가 있는 인간단백질이 박테리아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기술이 개발되어 신기능 동식물이 개발 가능해졌다. 이에 유전자기술을 이용한 생명공학이 탄생되었다. 지난 30여 년간 생명과학은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하여 눈부신 발전을 해왔다. 최근 인간 및 유용생물체들의 유전자 지도 및 서열이 알려짐에 따라, 아직까지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들의 chromosome상의 위치와 아미노산 서열을 알게 되었다. 남은 작업은 아직까지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들의 기능을 밝히는 일이다. 유전체(핵내에 있는 모든 DNA)서열을 알게 됨에 따라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단백질들을 곧 알게 될 것이고, 이들의 역할이 규명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생명의 신비와 많은 의문점들이 풀려질 것이다. 즉, 어떻게 한 세포로부터 우리의 몸이 구성되고,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고, 왜 늙으며, 왜 암이 생기는가를 이해 할 수 있는 날이 곧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리를 이해함에 따라 우리가 국면하고 있는 문제들, 즉 노화, 치
취재 | 채치범 / 생명 교수, 생명공학연구센터장 | 2001-03-28 00:00